공지사항

더보기
25 2025.02

2025년 동계연수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입니다.2월 18(화) - 2월 21(금) 「2025년 동계연수」를많은 선생님들의 참여 속에 무사히 마쳤습니다^^​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는 2019년 설립된 이후 인지행동치료 및 인지행동놀이치료, 마음챙김심리치료 영역에서전문가의 양성과 훈련을 목표로 다양한 학문적 장을 제공해오고 있습니다.​​2025년 동계연수는 「인지행동치료에서 이미지 재구성의 활용」,「섭식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적 접근」,「상담자/심리치료사의 소진 예방을 위한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을 주제로 각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유익한 강연이 진행되었습니다.1일차에는 [인지행동치료에서 이미지 재구성의 활용: 사회불안장애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육군사관학교 심리경영학과 최윤영 교수님의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인지행동치료에서 이미지 재구성(Image Rescripting: IR)​이란? 개인의 자서전적 기억을 떠올리고 재구성하는 단계를 통해 기억과 연합된 정서가 및 의미를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는 3 단계 기법입니다. 개념적 정의에 대한 이해에서 더 나아가 실제적으로 내담자에게 IR 기법을 어떻게 적용하고 활용하는가를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또한, 사회불안장애를 중심으로 IR 치료 기법의 실제 사례별 개입 방안을 다루었습니다. 사회불안 증상 유지의 핵심적 요인인 부정적 자기심상과 과거의 고통스러운 사회적 사건이 관련됨에 따라, IR 치료 기법은 이 초기 기억의 효과적인 개입 방법이라고 평가됩니다. 2일차에는 [섭식장애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적 접근]을 주제로 연세엘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송윤주 원장님의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최근 아동 및 청소년의 SNS에서는 거식증을 찬성한다는 '프로아나', 먹고 토하기 '먹토', 뼈가 보일 정도로 말랐다는 '뼈말라' 등의 단어가 유행한다고 합니다. 단순한 유행어로 여겨지기 어려운 것은 아동/청소년기 섭식장애가 저체온, 저혈압, 무월경, 탈수 등과 더불어 신체 성장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때, 강화-인지행동치료(CBT-E) 기법은 이러한 내담자의 인지적인 변화를 이루어 내기 위해 단식, 폭식 등의 행동을 바꾸어 보도록 돕고, 그 변화의 효과와 영향력을 분석합니다. CBT-E 기법의 치료 과정 8단계와 실제 임상 현장의 귀중한 사례들를 바탕으로 섭식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의 인지-정서-행동을 이해하고 개입하는 방안을 배우는 시간이었습니다. 3-4일차에는 [상담자/심리치료사의 소진 예방을 위한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을 주제로 한국아동마음챙김연구소 정하나 소장님의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혹시, '번아웃(Burm-Out)'이라는 단어를 알고 계신가요? 정서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극도의 피로감을 호소하고 모든 의욕이 상실되며, 공감 능력이 저하되어 냉소적인 태도를 갖기 쉽고, 업무의 효율이나 성취감이 저하되는 등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운동 선수가 사용하는 것을 들어보셨을 '슬럼프' 혹은 '우울증'과도 유사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신건강 분야에 종사하는 상담자/심리치료사는 일반 직종에 비해 심리적 소진(번아웃) 경험이 높다고 합니다. 때문에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 것은 상담자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방법이자 상담자로써 가져야 할 역량으로, 마음챙김과 자기연민의 필요성을 깨닫고 경험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열정적으로 2025 동계연수에 참여해주신 모든 선생님들께 감사드리며, 유익한 시간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앞으로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는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인지행동치료 및 인지행동놀이치료를 활용할 수 있는 교육들을 제공하고,개인과 가족을 넘어, 학교와 지역사회 차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기역하는 선도적 역할을 해나가겠습니다! ​